지구온난화로 인한 이상 기후로 전국적으로 집중호우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도심지, 농경지 가리지 않고 피해를 입고 있다.
기상청은 집중호우가 불러올 수 있는 피해를 줄이고 후속 피해를 대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극한호우' 재난문자를 발송하기 시작했다.
보통 1시간 강수량이 30mm를 넘을 경우 집중호우라고 하는데, 이를 뛰어넘는 개념으로 1시간 강수량이 50mm 이상이면서, 3시간 누적 강수량이 90mm에 이르는 것을 말하며 산사태, 침수, 하천·계곡범람 등 각종 재해를 유발한다. '극한호우' 개념의 도입은 기상이변으로 인해 강우패턴이 얼마나 극단적으로 변했는지를 보여주는 사례라 할 수 있다.
지난 9월 19일부터 9월 21까지 3일간 14호 태풍(풀라산)의 영향으로 전남지역에 시간당 100mm가 넘는 극한 호우가 내렸다. 해남지역은 평균 강우량 280mm, 최고 389mm(해남 계곡)의 물폭탄이 쏟아졌다. 짧은 시간에 많은 비를 뿌리는 강우 패턴이 빈번히 발생하고 있는 것이다.
이번 극한 호우로 인해 전국적으로 많은 침수 피해가 발생했다. 경남 창원 도심은 곳곳이 물바다로 변했으며, 부산은 깊이 8m짜리의 대형 싱크홀이 생겼다. 전북 익산·김제 등에서는 벼 1500ha 이상 침수됐고, 전남지역 농경지 200여 ha에서는 수확을 앞둔 벼가 쓰러지고 밭작물이 토사에 유실되는 등 농경지 피해도 잇따랐다.
한국농어촌공사는 태풍 및 집중호우에 대비하여 홍수기에는 저수지 저수율을 70% 이하로 낮추고, 방조제의 담수호 사전방류를 실시해 여유수량을 확보하는 등 침수 피해 예방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조치에도 불구하고 극한호우 발생빈도는 해마다 늘어나고 있으며 그 피해 또한 가중되고 있다. <저작권자 ⓒ 에너지경제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
|
많이 본 기사
독자기고 많이 본 기사
|